전자책

  • 인기도서
  • 신작도서
  • 추천도서

> 전자책 > > >

김연실전

김동인 l 디앤피니티

김연실전
  • 출간일

    2013.06.09
  • 파일포맷

    ePub
  • 용량

  • 지원기기

    PC, Android, iOS
  • 대출현황

    보유5, 대출0, 예약중0

추천자료

  • 등록된 도서가 없습니다.
김동인(金東仁)이 지은 단편소설. 1939년 3월 ≪문장≫ 2집에 ‘김연실전’으로, 5월에는 ‘선구녀(先驅女)’, 1941년 2월에는 ‘진주름’이라는 제목으로 같은 잡지에 3회에 걸쳐 발표되었다. 이 작품은 당시 신여성 문학인이었던 김명순(金明淳)을 모델로 하였다 하여 물의를 빚기도 했다. 한 여인의 성장과정을 통해 개화의 물결과 자유연애의 이름 아래 도덕적으로 타락해가는 사회와 가정과 인간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김연실은 평양감영 이속이었던 김여찰의 소실 출생으로 적모(嫡母)의 천덕꾸러기로 성장한다. 이러한 집안에서 벗어나기 위해 진명소학교에 입학, 신학문을 배우고 그 학교가 문을 닫자 일본어를 배워 동경유학길에 오르고자 한다. 이때 일본어 개인교사에게 처음으로 정조를 빼앗기지만, 남녀관계나 연애의 진정한 의미를 깨달은 것은 아니었다. 그 뒤 동경에 가서 예술과 문학에 눈을 뜨고 문학과 연애를 불가결한 관계로 파악한 그녀는 자의적으로 유학생들과 문란한 연애를 벌이며 선각자적인 의식에 사로잡힌다. 귀국 후에도 여류문사로 활동하면서 다시 여러 남자들과 무절제한 연애생활을 누리지만, 결국 정신적·육체적 몰락과 더불어 문학과 연애의 상실, 경제적인 궁핍에까지 이르고 만다. 이처럼 몰락한 연실은 어느날 셋방을 얻으러 갔다가 이제는 복덕방 영감이 된 옛날의 일본어교사를 만난다는 이야기이다. 이는 신여성의 참된 임무나 구실을 오해하고 자유연애라는 잘못된 행태에만 빠져 타락하고 마는 연실의 삶을 반어적 양상으로 그린 것이다. 그와 더불어 가부장적 봉건가족제도에 얽힌 처첩의 문제, 반상계급의 이동, 적서의 문제 등을 통한 조선 말기 사회의 모습도 보여주고 있으며, 초기 동경유학생들의 무절제한 연애생활, 초기의 조선문단 등이 사실적으로 그려지면서 풍자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영향 속에서 점진적으로 타락해가는 연실의 파멸을 추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감자>와 같은 자연주의적 사실주의 계열의 작품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환경결정론적 사고 때문에 인물 자신의 갈등이나 상황과의 부단한 대결 모습이 결여되어 있고, 신여성에 대한 극단적인 야유와 희화화, 과도한 성 묘사 등으로 인해 작품의 진실성이 저해되고 있다는 것이 그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김동인(金東仁, 일본식 이름: 東 文仁 히가시 후미히토 / 金東文仁 가네히가시 후미히토, 1900년 10월 2일 ~ 1951년 1월 5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 문학평론가, 시인, 언론인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호는 금동(琴童), 금동인(琴童仁), 춘사(春士), 만덕(萬德), 시어딤이다. 1919년의 2.8 독립 선언과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으나 이후 소설, 작품 활동에만 전념하였고, 일제 강점기 후반에는 친일 전향 의혹이 있다. 해방 후에는 이광수를 제명하려는 문단과 갈등을 빚다가 1946년 우파 문인들을 규합하여 전조선문필가협회를 결성하였다. 생애 후반에는 불면증, 우울증, 중풍 등에 시달리다가 한국 전쟁 중 죽었다. 평론과 풍자에 능하였으며 한때 문인은 글만 써야된다는 신념을 갖기도 하였다. 일제 강점기부터 나타난 자유 연애와 여성 해방 운동을 반대, 비판하기도 하였다. 현대적인 문체의 단편소설을 발표하여 한국 근대문학의 선구자로 꼽힌다. 필명은 김만덕, 시어딤, 김시어딤, 금동 등을 썼다. 그의 작품은 저작권이 소멸되었다.

별점5개     별점4개     별점3개     별점2개     별점1개


(한글 40자 이내)

평점 한줄리뷰 작성자 작성일 추천수

등록된 한줄 리뷰가 없습니다.

    등록된 한줄 리뷰가 없습니다.